나는 책 읽기를 좋아한다. 어릴 적부터 그런 습관을 길러왔던 것은 아니고, 대학에 입학하고 기숙사 생활을 시작하면서 TV와 컴퓨터로부터 단절되자 자연스레 가까이 하게 된 것이다.
처음에는 소설책으로 시작했다. 그로부터 2년여 간 나는 소설책 이외의 책은 생각을 해본 적도 없었고 오로지 내 스스로를 치유할 목적으로 책을 읽어댔다. 아니, 그때는 몰랐다. 소설을 통해 내 자신이 위로를 받고 점차 나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그러던 어느 날 나는 다른 분야의 책으로도 눈을 돌리게 되었고, 책과 책이 꼬리를 물고 이어지던 끝에 채식에 관한 정보까지 알게 된다.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 일이었다. 그렇게 채식에 관한 동영상과 웹툰 까지 보게 됐다. 그리고 마크 롤랜즈의 <동물의 역습>은 채식을 결심하게 되는 결정타를 날렸다.
채식은 건강을 위한 것만이 아니라 지구의 생태계를 위한 것이기도 했다. 소 · 돼지 · 닭 등의 기계적인 사육방식은 환경오염의 대재앙을 불러왔고, 인위적으로 동물의 개체수를 조작한 결과 많은 동물들이 멸종하여 생태는 다양성을 잃었다. 그곳에는 생명의 존엄성도, 다른 생명체가 살아갈 권리도 없었다. 오직 먹을 것에 대한 탐욕과 자본의 논리만이 존재할 뿐이었다.
나의 관심은 육식의 문제점을 넘어 음식의 중요성과 음식이 만들어지는 과정까지 확장되었다. 음식이 우리 몸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게 되었고, 우리의 식문화가 몹시도 병들어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나의 먹는 행위는 단지 주린 배를 채우는 역할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이는 다른 생명에 대한 존중, 생물 다양성의 옹호, 지구 환경에 대한 관심, 그리고 농부의 소중한 땀 한 방울의 가치를 마음으로 이해하는 것이었다.
육식에 대한 거부감은 채식에 대한 애착으로 옮겨졌다. 그러나 채식을 실천하는 일은 결코 만만한 일이 아니었다. 식당에서 고기 · 계란 · 유제품 등이 들어가지 않은 음식을 찾기란 하늘의 별따기 이고, 군것질 거리도 마찬가지였다. 때문에 밖에서 제대로 된 한 끼를 해결하기가 어려워 도시락을 싸서 다녀야 했다. 그렇다고 내가 ‘완벽한 채식’을 실천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조심한다고 해도 사먹는 음식에는 육식 성분이 들어있게 마련이고, 때로는 나의 식욕에 못 이겨 치즈나 계란이 들어 있는 음식을 먹기도 했다. 이것은 지금도 스스로에게 부끄러운 일이다.
만약 나 혼자서만 채식을 했다면 이를 지키는 일이란 더욱 힘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채식을 하는 사람은 나 혼자가 아니다. 책을 통해 만나게 된 사람들도 함께 채식을 하고 있고, 그들과 만나는 자리에선 아무런 불편함 없이 식사를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서로의 마음을 알고 이해하기 때문에 채식에 대한 결심을 굳건하게 다질 수가 있다. 또한 최근에 불어온 채식 열풍은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고, 각종 블로그와 카페를 통해서도 채식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채식 식료품을 구입할 수도 있다.
채식은 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나아질 것이다. 한 사람씩 늘어갈 때마다 나와 지구의 건강이 빠른 속도로 회복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