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기2012. 8. 30. 21:29






상식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을 팍팍 깨주는 책!
 

1. 똥거름이 채소에게 좋을거라고 생각했는데.. 아닌가보다. 저자는 오랜기간 숙성되지 않은 가축 등의 분뇨가 문제가 된다고 말한다. 농사짓는 사람 대부분이 그런 식으로 사다가 농사를 지으니까. 대신 집에서 직접 만든 제대로 숙성된 똥거름은 괜찮을 것 같다. 동물성 비료보다는 식물성 비료가 낫다고 한다.


2. 벌레가 끓는 이유는 없어야 할 것이 있기 때문에 치유해주기 위해서라고 한다. 헐... 우리집 채소들도 많이 아픈거였구나 ㅠㅠ 출처도 모르고 썼던 비료들 때문에... 벌레가 먹으면 건강한 채소인 증거라고 생각했는데, 아니였다! 
사람이 아픈 이유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없어야 할 것이 몸에 있기 때문에 내보내기 위해서라고 …  그러니 오히려 기뻐해야 한다고.

- p.15 자연재배의 개념은 이렇다. '불순물'이 들어 있지 않은 채소는 병에 걸리지 않고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 벌레는 채소에 병의 원인이 있다는 사실을 가르쳐 주는 존재이며, 병은 '불순물'을 내보내려는 정화 작용이다.

  p.26 비료나 농약은 분명 효과가 좋다. 하지만 자연의 균형을 무너뜨린다. 비료를 주었기 때문에 벌레가 꼬이고, 그러고 나면 벌레를 없애기 위해 살충제가 필요해진다. 


3. 진짜 좋은 흙에는 지렁이가 살지 않는다고 한다. 왜냐하면 지렁이가 할 일이 없기 때문이다. 지렁이가 흙을 기름지게 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럴 필요가 없는 흙에는 지렁이가 살지 않는다. 헉.

- p.24 풀은 땅을 진화시키기 위해 나는 것입니다. 작물에 적합한 땅이 만들어졌다면 잡초는 자연히 없어지는 법이지요.

  p.83 흙은 자연에 가까울수록 따뜻하고 부드럽다. 더불어 자연재배로 바꾼 생산자는 한 가지 사실을 더 실감할 수 있다. 바로 벌레가 줄었다는 점이다. (…)
  흙이 진화할 때 지렁이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지렁이가 굳이 일하지 않아도 되는 흙이야말로 농작물을 기르기에 적합한 흙이다. 


4. 제 스스로 클 수 있는 씨앗에 미리부터 온갖 약과 비료를 뿌리는 탓에 채소는 제대로 크지 못한다. 겉보기엔 굵직하고 때깔 고와보일지 몰라도 맛과 영양은 예전같지 못하다고 한다. 있는 그대로 두면 되는 것을. 더 달고, 크고, 예쁜 결실을 얻기 위해 욕심을 부렸다가 벌레가 꼬이게 되고 결국 약을 치게 되는 것이다. 요즘 아이들과 청년들처럼 말이지...   
한번 망가진 흙을 되돌리는데는 최소 3년이 걸리는 듯 하다. 이제 독이 다 빠졌나 싶었는데 10년 후에 또 나오기도 하고.

- p.120 씨앗의 참모습을 되찾으려면 농가에서 직접 씨앗을 받는 수밖에 없다. 농약과 비료를 빼낸 흙에서 자란 채소에서 생산자가 씨앗을 받고 그 씨앗으로 다시 채소를 기르는 것이다. 이 과정을 반복해서 씨앗에 포함되어 있는 비료 성분을 빼내고 스스로 자랄 수 있는 힘을 되살린다. 


5. 채소는 원래 썩지 않는다. 시들기만 할 뿐. 약을 치고 키운 채소가 썩으면 고약한 화약약품냄새가 나고, 똥거름(제대로 발효되지 않은)을 주고 키운 채소에선 똥냄새가 난다고 한다... 반면에 자연재배 채소는 썩지 않고 발효가 된다. 상큼 달달한 향기를 남기며…

 왼쪽부터 자연재배, 유기재배, 일반 재배한 오이.


6. 균에 대해서도 조금 관심이 생겼다. 요즘은 천연 균을 이용한 발효식품을 찾기가 하늘에 별따기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사정은 어떨까? 보통 슈퍼는 물론이고 대형마트에서도 못 찾을 것이다. 감칠맛이란 균의 오묘한 조화에서 나오는 것이라 한다. 인공 조미료가 아니라!


 p.32
 자연재배 농법의 창시자가 일찍이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먹을 것은 산처럼 쌓여 있지만 어느 것 하나 당장 먹을 수 없는 시대가 온다."
: 지금이 바로 그런 시대... 


 p.195
 "그 사람이 싫은 소리를 하니까 나도 할 마음이 안 생겨."
 정말로 '그 사람' 때문일까?
 자신이 끔찍하게 여기는 것에 고마워하기란 분명 쉬운 일이 아니다. 억지로 감사하라는 말이 아니다. 하지만 자연을 둘러보면 그토록 싫어하던 것도 사실은 싫은 존재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으므로 처음부터 고마워할 수 있다. 

 

:: 책을 읽다 보면 의문 가는 부분도 있고,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있고, 분노하게 되는 부분도 있다. 그런데도 나는 누구한테 배우지 않아도 혼자 잘 할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것들을 알려주시는 분들 책 몇 권만 있으면 농사를 지을 수 있을 것 같다. 몇년간 수확도 못하고 벌레가 들끓어도 당장 굶어 죽을 상황만 아니라면 참고 기다릴 수 있다. 자연의 힘을 믿을 수 있다.

채식, 농사, 질병, 음식 등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 먹거리는 살아가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므로 이런건 정규 교육 과정에서 배울 수 있었으면 좋겠다. 아 그럼 이것도 그냥 달달 외우는 지식이 돼버리려나... T-T 경험으로 배운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



Posted by 보리바라봄
vegetus2011. 6. 16. 23:46



아, 드디어 두달여간의 귀농학교 수업을 마쳤다. 
오늘은 수료식이 있던날. 수료장과 장미꽃 한 송이, 그리고 호미를 선물로 받았다. 하하
어찌나 뿌듯하던지! 웃음이 절로 나왔다.
나는 언제쯤 귀농을 할 수 있을까?
언제쯤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갈 수 있을까?
내또래 친구들이 스펙쌓기는 집어 치우고 '다같이 농사지으러 가자~'고 했으면 좋겠다.
이루어져라!




"1974년부터 유기농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는 미국 로일 연구소는 유기농업이 인류의 건강뿐 아니라 파괴된 지구를 치유하고 살리는 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 유기농업은 건강한 표토에 대기 중의 탄소를 흡수해서 가둠으로써 전혀 이런 기능을 못하는 관행농법에 견주어 기후변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 …… 미국의 농토 전부가 유기농으로 전환한다면, 미국에서 사용되는 자동차의 절반 이상을 없애는 것과 그 효과가 맞먹는다고 한다. …… 이 위기의 시기에 유기농법같은 대안이 존재한다는 것은 축복이며, 유기 농부들은 세상을 구하는 영웅이 아닐 수 없다. …… 유기 농부들뿐만 아니라 유기농 제품을 구입하는 소비자 역시 영웅이다. 그들은 일상 속에서 이런 깨어 있는 소비 행위를 통해 지구를 구하는 일에 동참하기 때문이다."

조길예,' 유기농부, 지구온난화 시대의 진정한 영웅' 中
(한겨례 신문, 2009. 11. 23) 






 
Posted by 보리바라봄
vegetus2011. 4. 27. 10:35

 

                                                                                                 빈센트 반 고흐, 씨 뿌리는 사람




내가 농사를 지어야 겠다는 생각을 한 건 언제부터 였을까? 모르겠다.
단순히 작은 텃밭과 꽃밭을 가꾸며 살고싶다고 생각했을때부터? 아니면, 
도시적인 것들을 거부하고 다시 원시시대가 됐으면 좋겠다고 친구들과 장난치던 그때?
(그럼 우리 옷 벗고 낙엽으로 가리고 장구치는거냐며-.-)
그것도 아니라면,
독서토론모임을 하면서 교수님과 이야기를 나누다가 그런 생각을 하게 된 것 같기도 하다.

나는 왜 농사를 지으려고 하는가?

'귀농'이란 건, 다시 농사를 짓는 것. 그러니까 나는 해당 사항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나는 농사를 지어본 적이 없으므로 다시 지으러 '돌아가는' 건 아니니까.
그래서 귀농학교 입학식이 있던 날 자기소개를 할때

"저는 귀농이라기 보단 농부가 되고 싶어요."라는 말을 했던거다.

아 그런데,
어제 수업을 듣고 보니 귀농의 의미가 그런 것이 아니였다.

귀농이란,
흙, 자연과 함께하는 삶으로 돌아가는 것
선택할 수 있는 직업들 중 하나가 아니라 '삶을 바꾸는 것'
이것은 가치관과 삶의 양식의 변화이다.
돈에서 생명으로, 물질에서 정신으로, 소유에서 존재로
내 힘으로 잘 사는 것, 남의 손에 내 목숨줄을 맡겨두지 않고 스스로 건강하게 사는 것.

귀(歸), 즉 '돌아간다'는 말은, 그 돌아가는 곳이 '제자리'일때 사용할 수 있는 말이다.
농(農)이 '내 본래의 자리'라는 것을 확실하게 깨달아야 행복한 귀농이 되는 것이다
.
그 자리는 근원과 생명의 자리다.
귀농의 궁극적인 목적은 행복하기 위함이다.

우리는 자연스러운 삶의 단순성을 되찾아야만 마음의 평온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컨 틀 돈 벌러 갈 시간에 숲 속 냇물에 발을 담그며 늘어지게 낮잠을 자는거다.

인간이 이루어 놓은 문명 중에 스스로 창조해 놓은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모두 자연으로부터 약탈해서 만들어 놓은 것일 뿐
때문에 자연에서 멀어지고, 병든 삶을 살게 된 것이다.

이병철 선생님께서는 농업만이 삶이 지속될 수 있는 유일한 방이라고 하셨다.
그리고 내가 귀농을 해야하는 '가슴뛰는 이유 10가지'를 이번 19기 수업이 끝날때까지 꼭 생각해보라고 하셨다.
 
나는 농사짓는 일을 언젠가부터
너무 '당연'하고 '꼭 그래야만 할 것 같다'고 무의식중에서 여겨왔던 것 같다.

곡류, 과채류의 씨나 모종을 심어 기르고 거두는 일이 어째서
근원으로 돌아가는 일인지, 그리고 왜 그래야만 하는지

다시 곰곰이 생각해봐야 겠다.






 (2강, 이병철, "귀농_근원으로 돌아가기" 수업을 듣고 정리_)

 

Posted by 보리바라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