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흐'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1.04.27 귀농 _ 근원으로 돌아가기 4
  2. 2010.09.07 책과 블로그로 마음의 지도를 그리다 15
vegetus2011. 4. 27. 10:35

 

                                                                                                 빈센트 반 고흐, 씨 뿌리는 사람




내가 농사를 지어야 겠다는 생각을 한 건 언제부터 였을까? 모르겠다.
단순히 작은 텃밭과 꽃밭을 가꾸며 살고싶다고 생각했을때부터? 아니면, 
도시적인 것들을 거부하고 다시 원시시대가 됐으면 좋겠다고 친구들과 장난치던 그때?
(그럼 우리 옷 벗고 낙엽으로 가리고 장구치는거냐며-.-)
그것도 아니라면,
독서토론모임을 하면서 교수님과 이야기를 나누다가 그런 생각을 하게 된 것 같기도 하다.

나는 왜 농사를 지으려고 하는가?

'귀농'이란 건, 다시 농사를 짓는 것. 그러니까 나는 해당 사항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나는 농사를 지어본 적이 없으므로 다시 지으러 '돌아가는' 건 아니니까.
그래서 귀농학교 입학식이 있던 날 자기소개를 할때

"저는 귀농이라기 보단 농부가 되고 싶어요."라는 말을 했던거다.

아 그런데,
어제 수업을 듣고 보니 귀농의 의미가 그런 것이 아니였다.

귀농이란,
흙, 자연과 함께하는 삶으로 돌아가는 것
선택할 수 있는 직업들 중 하나가 아니라 '삶을 바꾸는 것'
이것은 가치관과 삶의 양식의 변화이다.
돈에서 생명으로, 물질에서 정신으로, 소유에서 존재로
내 힘으로 잘 사는 것, 남의 손에 내 목숨줄을 맡겨두지 않고 스스로 건강하게 사는 것.

귀(歸), 즉 '돌아간다'는 말은, 그 돌아가는 곳이 '제자리'일때 사용할 수 있는 말이다.
농(農)이 '내 본래의 자리'라는 것을 확실하게 깨달아야 행복한 귀농이 되는 것이다
.
그 자리는 근원과 생명의 자리다.
귀농의 궁극적인 목적은 행복하기 위함이다.

우리는 자연스러운 삶의 단순성을 되찾아야만 마음의 평온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컨 틀 돈 벌러 갈 시간에 숲 속 냇물에 발을 담그며 늘어지게 낮잠을 자는거다.

인간이 이루어 놓은 문명 중에 스스로 창조해 놓은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모두 자연으로부터 약탈해서 만들어 놓은 것일 뿐
때문에 자연에서 멀어지고, 병든 삶을 살게 된 것이다.

이병철 선생님께서는 농업만이 삶이 지속될 수 있는 유일한 방이라고 하셨다.
그리고 내가 귀농을 해야하는 '가슴뛰는 이유 10가지'를 이번 19기 수업이 끝날때까지 꼭 생각해보라고 하셨다.
 
나는 농사짓는 일을 언젠가부터
너무 '당연'하고 '꼭 그래야만 할 것 같다'고 무의식중에서 여겨왔던 것 같다.

곡류, 과채류의 씨나 모종을 심어 기르고 거두는 일이 어째서
근원으로 돌아가는 일인지, 그리고 왜 그래야만 하는지

다시 곰곰이 생각해봐야 겠다.






 (2강, 이병철, "귀농_근원으로 돌아가기" 수업을 듣고 정리_)

 

Posted by 보리바라봄
카테고리 없음2010. 9. 7. 23:23




고흐 (농부의 신발, 1886)





 책은 왜 읽어야 할까? 책을 많이 읽으면 좋다는 말은 수도 없이 들어서 지겨운 말이 되어버렸지만, 왜 책을 읽어야 하는지를 분명하게 설명해주는 사람은 없었다. 책을 읽는 이유가 단지 ‘아는 것이 많아지기 때문’이라면 이는 공부와 다를 게 없다. 관심도 재미도 생겨나질 않았다. 내가 읽었던 책들은 기껏해야 ‘오싹 공포이야기’, ‘꽃 속에 핀 전설’, ‘세계 7대 불가사의’ 정도의 수준이었다. 때문에 어린 시절부터 고등학교를 마칠 때까지 읽은 책을 손으로 꼽아보라면 꼽을 수 있을 정도로 나는 독서를 좋아하지 않았다.    

 대학교에 입학하고 기숙사에 들어가 살게 되면서부터 자연히 TV와 컴퓨터가 (방 안에 없으므로) 멀어지게 되었다. 혼자 있을 때면 할 것이 없던 나는 소설을 읽기 시작했다. 소설은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나를 위로하고 재미있게 만들었다. 또 가끔은 좋은 글귀로 나를 감동시켰다. 중앙도서관 4층을 들락거리며 일본소설과 현대 작가들의 책을 주로 읽었다. 가끔은 책을 읽어도 도무지 나아지는 게 없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한 교수님으로부터 ‘콩나무 시루에 물을 부으면 물이 다 빠져나가는 것 같아도 콩나물이 자라듯이, 독서를 하면 아무것도 남는 게 없는 것 같지만 무엇인가는 차곡차곡 쌓이게 된다’는 말을 듣고 힘을 얻었다.

 그러다가 2008년 12월 내 스스로를 더 깊이 들여다볼 수 있게 된 계기가 찾아왔다. 딱 한 가지 요소가 나를 그렇게 만들었다고 단정 짓기는 어렵지만 그때의 상황과 더불어 ‘연금술사’라는 책은 내가 읽는 책의 영역을 확장시켰다. 그때부터 3층(인문사회예술)과 5층(과학) 7층(정신의학)까지 책을 고르는 범위가 넓어졌다. 원하는 책을 스스로 찾는 분별력이 생기고 내가 정말로 하고 싶은 일을 그려나갈 수 있게 됐다. 표현을 과장하자면 하루아침에 달라진 내가 됐다.

 올 봄부터 시작한 독서토론클럽은 지금 당장 실천으로 옮기는 행동의 변화를 불러왔다. 책 한권 읽는다고 해서 모든 것을 다 알 수는 없지만, 그 책이 한 권 한 권 쌓이면서 내 자신에게로 돌아가는 길을 알려준다.

 


 나에 대해 진지하게 궁리하면서부터 새로운 관심사가 생겼지만 이에 대한 이야기를 마음 놓고 할 수 있는 대상이 없었다. 물론 잘 들어주고 조언을 해주는 친구들도 있었지만, 거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항상 답답한 마음이 들었던 나는 우연한 계기로 블로그를 시작하게 되었고 그곳에 내가 생각하는 모든 것을 털어놓았다. 나와 비슷한 취향의 사람들과 교류하게 되면서 흔들리는 생각을 바로 잡고 더욱 깊이 있게 다져갔다. 그러면서 블로그 속 나는 또 다른 내 모습을 만들었다. 현실에서의 내 모습과는 분명히 거리가 있었다. 블로그를 통해 만나는 사람들이 정말 옆에서 알고 지내는 사람들처럼 가깝게 느껴졌고, 실제로 그랬으면 하고 바라기도 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어떤 것이 정말 내 모습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실제 내 생활에서는 이런 이야기를 나누지 않는 다는 것이 괴로웠다. 현실과 나는 동떨어진 사람처럼 괴리감이 있었다. 현실을 도피하는 부적응자 같기도 했다.

 지금은 그 거리를 좁혀가고 있다. 이상적인 생각을 현실로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블로그 속 나와 현재의 내가 많이 닮아가고 있다는 느낌이다. 가상과 현실이 닮아갈수록 이상과 현실의 경계는 사라진다.






+) 글을 좍 읽고 나니까 고흐가 생각나서 고흐 그림을 넣었다.

이거 내 소개를 해야하는데,

너무 마음의 지도만 그린게 아닌가 싶네 -





Posted by 보리바라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