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춤'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5.06.27 정확한 사랑의 실험 - 신형철 2
책 읽기2015. 6. 27. 23:35

 

 

 

백은하. 책과 춤. 2015
A dance & A book

 

 

 

 

마지막에 조금 남겨둔 부분을 드디어 다 읽었다. 2월 중순에 이 책이 너무 좋다고 얘기해 놓고선 유월 말이 되어서야 마무리를 짓는다.

좋아하는 마음이 꾸준하지 못하고 바뀌어버리는 건 실상을 보지 못하고 상상으로 기대를 해버린 탓일까?

(하지만 기대 이상의 만족감을 주면서 꾸준히 좋아하게 하는 것은 어떻게 설명해야 하지?)

어쨌거나 이 책은 신형철이라는 사람이 타인을 쉽게 미워하지 않고 이해하기 위해 끝없이 사고하고 노력하는 사람이라는 점에서 매력적이었다. 그가 대놓고 이런 표현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영화를 고르거나 해석하는 관점을 보면 그가 그런 사람임을 쉽게 알아볼 수 있다. 게가다 그는 섬세한 사람이 아닌가.

 

'정확하게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고통을 느낀다.'

 

한동안 내 블로그에 달아두었던 문장. 이 한줄의 문장이 정말이지 좋았다.

정확한 사랑이란 건 나와 타인을 구분짓는 개별적인 특성이 온전히 받아들여지고 인정되어야지 이뤄질 수 있는 것일테다.

그런 특별함 때문에 있는 그대로 존재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 같았다. 바로 저 정확한 사랑을 통해서.

 

 

 

 

*

 

p.27

 문학(글쓰기)의 근원적인 욕망 중 하나는 정확해지고 싶다는 욕망이다. 그래서 훌륭한 작가들은 정확한 문장을 쓴다. 문법적으로 틀린 데가 없는 문장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말하고자 하는 바의 본질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에 다른 문장으로 대체될 수 없는 문장을 말한다. 그러나 삶의 진실은 수학적 진리와는 달라서 100퍼센트 정확한 문장은 존재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결국 문학은 언제나 '근사치'로만 존재하는 것이리라. ('근사하다'라는 칭찬의 취지가 거기에 있다. '근사近似'는 꽤 비슷한 상태를 가리킨다.) 어떤 문장도 삶의 진실을 완전히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다면, 어떤 사람도 상대방을 완전히 정확하게 사랑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정확하게 표현되지 못한 진실은 아프다고 말하지 못하지만, 정확하게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고통을 느낀다. "정확하게 사랑받고 싶었어". 이것은 장승리의 두 번째 시집 『무표정』(문예중앙, 2012)에 수록돼 있는 시 「말」의 한 구절인데, 나는 이 한 문장 속에 담겨 있는 고통을 자주 생각한다.

 

 

p. 31, 35

 그의 이름은 '로렌스 무엇이건(Laurence Anyway)'이다. 이 이름은, 우리가 자기 자신으로 사는 일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럴 수만 있다면 '어떤 길(any way)'를 택해서라도 그래야 한다고 말해준다.

(...)

로렌스는 '본래 여자로 태어났으므로 여자가 되기를 원하는 남자'라고, 아델은 '여자를 사랑할 때만 진실한 자기 자신이 될 수 있는 여자'라고 말하면 되는 것일까.

 

 

p. 65

 세상 사람들이 '외도를 하다 자살한 여자'라고 요약할 어떤 이의 진실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 톨스토이는 2000쪽이 넘는 소설을 썼다. 그것이 『안나 카레니나』다.

 

 

p.200-201

 물론 이 에피소드 역시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중요한 것은 그것이 사실이냐 아니냐의 문제가 아니라 그와 같은 파이의 믿음이 그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물음이다. 그 물음이 그를 살게 했고 유일하게 중요한 것은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어떤 논리적 역전이 발생하면서 다음과 같은 명제가 도출된다. 믿었기 때문에 살 수 있었다면, 살기 위해 믿어야 한다는 것. 이성으로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고통이 닥쳤을 때, 이성으로는 도저히 가망이 없는 상황에 처했을 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를 계속 나아가게 하는 것은 이성이 아닐 수 있다. 그렇다면 그런 상황에서 어떤 초월적인 것을 믿기로 결정하는 것은 지극히 합리적인 판단이라고 해야 한다. 이 판단은, 이성을 믿으라는 아버지의 말, 마음속의 일들은 이성이 해결해주지 못한다는 어머니의 말 중 어느 것에도 위배되지 않는다. 맹목적인 근본주의자들을 화나게 할 만한 소리지만, 어쩌면 이것을 실용주의적 신앙이라고 해도 될지 모르겠다. 필요하니까 믿는다는 것. 여기서 신의 존재 여부를 둘러싼 유구한 논쟁은 별로 의미가 없다. 존재하기 때문에 믿는 것이 아니라 믿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니까 말이다.

 

 

p. 221

 그러므로 나를 인정해줘야 할 사람은, 무엇보다도 내가 인정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인정할 만한 존재로부터 인정받아야 진정한 인정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는 뜻이다. 이와 같은 상호인정을 통해 진정한 자기의식에 도달하는 관계를 상상해볼 수 있겠는데 그런 관계를 '사랑'이라 불러도 무방하리라.

 

 

p. 234

 이 감정에 가장 적절한 이름이 passion(열정, 수난)이 아니고 무엇일까. 수난을 부르는 열정, 즉 passion은 선도 악도 아니라는 것, 그러므로 그것은 그토록 위험하다는 것, 인간이 스스로 통제할 수 없고 그래서 인간을 파멸로 이끌기도 하는 그 열정이 인간의 가장 심오한 본질 중 하나라는 것 등은 이 서사의 마지막에 돌연히 제출되는, 이 시리즈 전체의 보수적인 교훈보다 더 중요한, 은밀하고 강렬한 메시지다.

 

 

 

 

음 - 정리해놓고 보니 같이 사두었던 <느낌의 공동체>도 다시 보고싶어졌다.

 

Posted by 보리바라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