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피뉴이어'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6.01.01 귀향 - 틱낫한
책 읽기2016. 1. 1. 10:53

 

 

 

 

 

2015/12/31, 안녕을 빌어주는 마음

 

 

 

 

 

p.25

 여러분이 이 속으로 깊이 들어가면 여러분은 자신의 존재의 근원과 만나게 됩니다. 이 세상의 것을 모두 버릴 때 하나님과 접촉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여러분은 결코 하나님과 접촉할 수 없을 것입니다. 여러분 속에, 그리고 여러분 주위에 있는 모든 것, 말하자면 색(色 ; 물질), 수(受 ; 감각), 상(想 ; 지각), 행(行 ; 의지), 식(識 ; 의식) 등을 거부하면서 니르바나를 구한다면, 여러분은 결코 니르바나와 접할 수 없습니다.

 

 

p.48-49

 불교에서는 이해가 사랑의 근거입니다. … 다른 사람 속에 있는 아픔을 보기 시작하면 자비가 태어나고, 그를 더 이상 원수로 생각할 수 없습니다. 원수를 사랑하게 되는 것입니다. 원수라고 생각하는 그가 고통받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의 고통이 없어지기를 바라는 순간, 그는 더 이상 원수가 아닙니다.

 누군가를 미워할 때 상대방에게 화가 나는 것은 그의 처지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p.70-71

 불교에서는 믿음을 에너지의 근원이라 봅니다. 믿음과 믿음의 에너지가 있으면, 우리는 더 활기를 띠게 됩니다. 그런데 믿음이란 무엇일까요? 심각한 문제입니다. 우리는 무엇을 보거나 들으면 그것이 사실이고 좋고 아름다운 것이라 확신하게 됩니다. 갑자기 그 무엇에 대해 믿음이 생긴 것입니다. 그러나 그 믿음의 대상은 오래가지 않습니다. 몇 시간이 지나면, 또는 며칠이 지나면, 우리는 처음의 믿음을 잃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자신이 보거나 들은 것이 잘못 보거나 잘못 들은 것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믿음은 참다운 믿음이 아닙니다. 그래서 그 믿음을 잃어버리는 것입니다. 이런 식의 믿음은 그럴듯하게 여겨질 수도 있지만, 사실은 도움이 되지 않는 믿음입니다. 이런 믿음은 잃어버릴 수밖에 없습니다. 왜 그럴까요? 믿음이란 살아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믿음은 자라나야 합니다. 만일 믿음이 관념에 불과하다면 그것은 살아 있는 믿음이 아닙니다. 어떤 관념을 가지고 그것을 믿음의 대상으로 삼고 거기에 집착하면, 나중에 자신의 믿음을 잃을 수밖에 없습니다.

 

 

p. 76

 불교에서는 믿음이 이해를 먹고 자란다고 합니다. 깊이 들여다보는 일은 더 깊은 이해를 가져다줍니다. 더 깊은 이해를 가지게 되면 믿음도 한층 더 자라게 됩니다.

 이해와 믿음이 자라난다는 것은 이해와 믿음 속에는 매 순간 죽어가는 무엇, 그리고 매 순간 새로 태어나는 무엇인가가 있다는 뜻입니다.

 

 

p.78

 의식을 집중할 때에도 먹어야 할 음식이 있습니다. 바로 "마음을 다하는 일mindfulness"입니다. 마음을 다하는 일은 지금 여기에 온전히 존재해 있는 일입니다. 먹거나 걷거나 앉거나 포옹하거나 무슨 일을 할 때라도 마음을 다해서 하면 그것이 곧 의식을 집중하는 일입니다. 의식과 정신을 집중하면 이해가 생깁니다. 이해가 생기면 믿음이 강해집니다. 마음을 다하는 일을 하면 에너지와 부지런함이 생깁니다.

 믿음이 있으면 에너지가 생깁니다. 불, 법, 승을 믿는 것처럼 정말로 선하고 참되고 아름다운 어떤 것을 믿으면 우리에게 에너지가 넘치게 됩니다. 생기 있는 삶이 됩니다. 믿음이 없는 사람은 활기가 없습니다. 믿음의 활기가 있으면, 발걸음이 더 힘차고 얼굴도 더 밝아집니다. 더 사랑하고 이해하고 돕고 일할 마음이 생깁니다.

 

 

p.85

 여기서 사랑이란 믿음을 말하기도 합니다. 믿음은 우리를 붙들어주고 힘을 주는 에너지원이기 때문입니다. 사랑과 믿음은 우리가 가꾸어나가야 합니다. 이것들은 한갓 관념이거나 개념이나 신조 같은 것이 아닙니다. 사랑은 살아 있는 것이고 믿음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랑을 하면서 우리는 많은 것을 배웁니다. 사랑을 많이 하면 할수록 실수는 적어집니다. 더 행복해지고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해 줍니다. 이렇게 되면 다른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는 자기 능력에 대해서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자라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믿음은 매우 구체적입니다.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참된 영적 체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p.102

 저는 차를 마실 때 마음을 다해 차를 마십니다. 차를 마시면서 저는 차를 마신다는 사실을 인지합니다. 이것이 마음을 다하면서 차를 마시는 것입니다. 숨을 쉬면서 저는 숨을 쉰다는 사실을 의식합니다. 이것이 마음을 다하면서 하는 숨쉬기입니다.

 

 

p.126

 처음에는 "부처님께 귀의합니다"라고 하지만 나중에는 "내 속에 계신 부처님께 귀의합니다"라고 말하게 됩니다. 이것이 중국, 일본, 베트남, 한국에서 삼귀의를 외울 때 의미하는 것입니다.

"부처님, 이 생에서 나에게 길을 보여주신 분에게 귀의합니다." 여기서 이 생에서 나에게 길을 보여주신 '분'이란 물론 석가모니 부처님이십니다. 그러나 수행을 쌓아나가면, 그분이 다른 분이 아니라 내 속에 계신 불성이라는 것, 그래서 나는 내 속에 있는 그 불성에 의지한다는 것을 발견합니다. 그것이 바로 직접적인 체험입니다. 이렇게 될 때 우리가 믿는 대상은 석가모니라고 하는 어떤 분에 대한 관념도, 부처됨에 관한 생각도, 불성에 대한 관념도 아닌 것이 됩니다. 이제 우리는 부처님을 관념으로서가 아니라 실재로, 현실로 접하는 것입니다. 불성이란 깨우침과 마음 다함과 집중과 이해를 가능하게 해주는 무엇입니다.

 

 

p. 172

 그러면 어떻게 니르바나에 접할 수 있을까요? 그저 이 현상 세계에 있는 것들과 접촉하면 됩니다. 한 개의 물결과 깊이 접촉하면 모든 물결들과 접촉하는 것입니다. 물결의 본성은 서로 '어울려 있음 interbeing'이기 때문에 한 물결을 경험하면 모든 물결을 경험하는 것입니다. 한 조각의 빵을 씹으면 영생을 얻습니다. 그 한 조각의 빵은 우리의 온몸, 온 우주의 몸이기 때문입니다. 어떤 질의 먹음, 어떤 질의 만짐, 어떤 질의 걸음인가 하는 것은 우리가 얼마큼 집중하느냐, 우리의 수행에서 얼마큼 지금 여기에 마음을 다해 있느냐 하는 데 달렸습니다.

 

 

p. 173

 태어남과 죽음이 있는 현상 세계에 접할 줄 모르면 태어남도 죽음도 없는 본질 세계를 접할 수 없습니다. 이것이 낙엽이나 그외 우리 주위에 있는 모든 것들이 주는 기별입니다. 낙엽이든, 하나의 물결이든, 한 명의 사람이든 그 대상과 깊이 접촉함으로써 만물의 상호 연관성 interconnectedness에 접할 수 있습니다. 늘 없음[無常] impermanence, 나 없음[無我] no-self, 어울려 있음[相卽相入] interbeing에 접하게 됩니다. 이런 어울려 있음, 나 없음에 접하게 되면, 궁극적인 차원, 하나님과 니르바나의 차원에 접하게 됩니다. 궁극적인 차원과 역사적인 차원을 구별하지만 사실 이 둘은 함께 있습니다. 없어져야 할 허상이 있을 뿐입니다.

 

 

 

 

 

 

/

마음 다함 (알아차림) - 의식 집중 - 이해 - 믿음 - 부지런함

순환의 연결고리들.

 

Posted by 보리바라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