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기2016. 7. 9. 21:24

 

 

 

 

홍서원에서 법공양을 받아 읽게 된 책 :)

감사합니다. 이 책을 읽게 된 공덕을 일체 중생과 부처님께 회향합니다... _()_

 

 

 

 

p. 36-37

 에고는 '자신만 소중히 여기고, 자신은 남보다 나은 어떠어떠한 사람이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해서 '자아에 대한 집착'과 '저항'으로 나타난다. 그래서 자신을 대단한 사람으로 여겨 남이 자신을 주목해 주고 알아주길 갈구하고, 남이 자신을 인정해 주고 대접해 주길 바라고, 자기주장을 끈질기게 내세워 자기를 선전하기에 바쁘고, 자신의 생각이나 생활 방식대로 남들도 그렇게 하기를 바란다. 허나 이러한 생각이나 바람은 그야말로 착각이다. 왜냐하면 남들은 자신을 그렇게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고는 착각과 환상의 덩어리다. 그래서 남들이 자신의 존재나 가치를 알아주지 않을 때 갈등을 일으키고 분노한다. 이 분노가 곧 저항이다.

 이 저항은 생각의 차원에서는 불필요한 판단이고, 감정의 차원에서는 부정적이다. 분노하는 것은 상대방의 생각과 행동이 자신과 다르기 때문에 일으키는 저항이다. 뭔가에 저항하면 그것에 사로잡히게 된다. 왜냐하면 그 순간부터 거기에 지나치게 민감해지기 때문이다.

 

 

p. 84

 먼저 여래의 사마타(奢摩他) 수행에 의지하고, 계율을 굳게 지니고, 대중과 함께 편안히 거처하고, 조용한 방에 단정히 앉아서 항상 이렇게 생각해야 한다.

 '지금 나의 이 몸은 4대(大)가 화합한 것이니, 머리카락 · 털 · 손발톱 · 이빨 · 살갗 · 살 · 힘줄 · 뼈 · 골수 · 뇌 · 더러운 형상은 다 땅[地]으로 돌아가고, 침 · 콧물 · 고름 · 피 · 진액 · 가래 · 땀 · 눈물 · 정기 · 대소변은 다 물[水]로 돌아가고, 따뜻한 기운은 불[火]로 돌아가고, 움직이는 기운은 바람[風]으로 돌아간다. 4대가 제각기 흩어지면 지금의 허망한 몸은 어디에 있겠는가.'

 

 

p. 86

 무아(無我)의 상태에서는 행위자는 없고 행위만 있다. 자아가 소멸되어버렸기 때문에 걸어가지만 걸어가는 자는 없고 걸어가는 행위만 있고, 밥을 먹지만 밥을 먹는 자는 없고 밥을 먹는 행위만 있고, 살아가지만 살아가는 자는 없고 살아가는 행위만 있다. 비유하면, 아이가 놀이에 빠져 있는 동안 놀이하는 자는 없고 놀이만 있고, 영화 관람에 몰입해 있는 동안 관람자는 없고 관람만 있고, 독서삼매에 빠져 있는 동안 독서하는 자는 없고 독서만 있는 것과 같다.

 개체적 자아라는 생각을 안고 있는 한 결코 안정에 이를 수 없다. 어디에 집착한다는 건 거기에 속박되었다는 뜻이니, 개체적 자아라는 생각의 소멸로 집착이 떨어져 나가버린 게 해탈이다.

 무아에 대한 붓다의 가르침은 '자아'를 없애라는 게 아니라 애당초 '자아'는 있지도 않았다는 것이다.

 

 

p. 131

 밥 먹을 때 밥만 먹는 게 평상심이다. 허나 범부들은 밥 먹을 때 밥만 먹는 게 아니라 천만 가지 생각을 하고, 걸을 때도 앉아 있을 때도 온갖 생각이 허공을 떠돈다. 몸은 '지금 여기'에 있는데, 생각은 '여기'를 떠나 안 가는 데가 없다.

 '지금 하고 있는 이것', 이게 전부다. 그 외는 모두 망상이고 허구다.

 

 

p. 146-147

 모든 존재가 행복하기를 바라는 자(慈), 모든 존재가 고통에서 벗어나기를 바라는 비(悲), 남이 즐거우면 함께 기뻐하려는 희(喜), 남을 평등하게 대하려는 사(捨)가 '자기를 보호하고 남을 보호하는 것[自護護他]'이고, '남을 보호하고 자기를 보호하는 것[護他自護]'이다.

 왜 자비희사(慈悲喜捨) 를 닦는가?

 그것으로 탐욕과 분노와 남을 해치려는 마음과 미워하는 마음이 사라져 집착하지도 않고 싫어하지도 않아, 마음을 평온에 이르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량없는 중생에게 일으키는 자비희사, 즉 4무량심(無量心)은 자신을 돌보고 남을 돌보는 일이다.

 

 

p. 147-148

 자신에게 가장 소중한 시간은 '지금 이 순간'이고, 가장 소중한 사람은 '자신을 가장 염려해주는 사람'이고, 가장 보고 싶은 얼굴은 '자신을 가장 편하게 해주는 사람'이고, 가장 소중한 일은 '자신이 좋아해서 몰두하는 일'이고, 가장 큰 문제는 '생각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p. 148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게 남을 소중히 여기는 일이고, 남을 소중히 여기는 게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일이다.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일은 자신을 책망하지 않고 너그럽게 감싸주고 정답고 따뜻하게 보살피는 데서 시작한다. 자신을 책망하는 것은 자신에 대한 분노이자 저항이며 학대이다. 누구나 결함이나 허물이 있기 마련인데, 그것을 껴안아 용서하지 않고 싸우기를 계속하면, 자신은 긴장 속에서 분열되고 자책의 감옥에 갇혀서 자신의 결함이나 허물에 더욱 더 민감해져 결국 자학에 이르게 된다.

 

 

 

Posted by 보리바라봄
책 읽기2016. 1. 17. 22:54

 

 


 

 

내 입맛대로 진행된 첫 초대:)

생각했던 만큼 편하지 않았고 조금은 경계하는 마음이 들었지만, 시도는 좋았다.

 

 

 

 

 

p.18

 귀 기울여 듣는 자세야말로 마음챙김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음챙김이란 정말로 소중하게 펼쳐지는 자기 삶과의 친밀감을 계발하는 것에 다름 아니기 때문입니다. 당신의 삶은 실제로 정말 소중합니다. 당신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당신이 가능하다고 여기는 것 이상으로 말입니다.

 

 

p.35

 그러나 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마음챙김이란, 당신이 의도적으로 현재 순간에 아무런 판단도 하지 않고 그리고 당신의 목숨이 그것에 달린 것처럼 주의를 기울일 때 '생겨나는' 무엇이다. 이때 일어나는 것은 우리의 자각(알아차림) 자체이다.

 

 

p. 66-67

 우리가 자신의 생각을 자동적 혹은 개인적인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때, 현실에 관해 생각으로부터 우리 스스로 지어낸 '이야기들'을 더 이상 믿지 않을 때, 또 우리가 호기심을 가지고 생각을 자각(알아차림) 속에 담아 그것의 실체 없음과 한계, 부정확성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지닌 대단한 힘에 놀랄 때, 우리는 그 순간에 생각의 습관적 패턴에 사로잡히지 않고 생각을 있는 그대로의 '생각'으로 보는 기회를 갖게 된다.

 

 

p. 86

 이런 식으로 어떤 대상이든 우리에게 가르침을 주는 스승이 될 수 있다. 피부에 닿는 공기의 부드러운 애무와 햇빛의 유희, 누군가의 얼굴에 순간적으로 드러난 표정, 몸의 일시적인 수축감, 한순간 마음에 떠올랐다 사라지는 생각 등은 모두 우리가 지금 이곳에 온전히 현존할 수 있음을 상기시켜주는 것들이다.

 

 

p.90

 놀랍게도 자각(알아차림)은 우리 경험의 안과 밖의 풍광 모두를 그 안에 담을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자각(알아차림) 할 때 안과 밖, 아는 자와 앎의 대상, 주체와 객체, 존재와 행위 사이에는 근본적인 구분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p. 119

 어쩌면 정말로 당신은 당신이 볼 수 있는 것만 보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당신이 볼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것은 우리가 곰곰이 생각하면서 뼛속까지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야 하는 질문이다. 그렇게 하여 우리의 삶을 인도하게 만들어야 하는 질문이다.

 

 

p. 150

 "인간에게서 모든 것을 앗아갈 수 있지만 앗아갈 수 없는 한 가지가 있다. 그것은 그의 마지막 자유, 다시 말해 특정 상황에서 자신의 태도를 선택하는 자유, 그리고 자기만의 방식을 선택하는 자유이다." (참고: 빅터 프랭클, 죽음의 수용소에서)

 

 

p. 168

 이런 식으로 성냄을 마음챙김하는 것은 심오한 치유의 작업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최소한 일시적으로라도 자동적이고 무의식적인 반응이라는, 자아가 부여한 무의식적인 구속을 해체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미 지난 후라 해도 조금의 자각(알아차림)은 우리가 그 순간에 매우 실제적인 선택을 내릴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만약 우리가 방금 우리에게 일어난 일에 대해 성찰한다면, 그리고 우리가 그에 감정적으로 반응한 것이 진정으로 잘한 일인지 성찰한다면 우리는 성냄의 영원한 노예가 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상기할 수 있을 것이다. 또 그것은 다음 기회에 (그것은 대개 바로 다음 순간에 뒤따라오는데) 우리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은 일로부터 생기는 몸의 위축되는 에너지를 느끼도록 허용하고 그것을 더 분명히 볼 것을 기억할 수 있음을 알려주기도 한다. 이런 식으로 우리는 그 순간의 거친 에너지에 대해 그것을 개인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또 강요를 통해 현재 일어나는 현상을 통제하지 않고도 그것이 스스로 일어나 자신의 복잡한 임무를 다한 뒤 사라지게 내버려두는 의도적인 선택을 내릴 수 있다. 마치 꺼진 촛불에서 올라오는 연기처럼 말이다.

 

 

p.175

 우리가 느끼는 괴로움은 불쾌함과 유쾌한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성냄과 탐욕에 있다. 다시 말해 우리의 집착과 자기 동일시에 우리가 느끼는 괴로움이 존재하는 것이다.

 

 

p.194

 애쓰지 않음의 태도는 결코 사소하게 보아 넘길 것이 아니다. 그것은 당신이 이미 여기에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

 

 

 

 

 

 

Posted by 보리바라봄
책 읽기2015. 12. 31. 23:05

 

 

 

 

 

Ryan McGinley

 

 

 

 

 

p. 90

 몽중의식(夢中意識)은 글자 그대로 꿈 가운데의 의식이다. 우리들이 잠을 깬 상태나 잠을 자고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왜냐하면 모든 것은 항상 의식을 통하여 평소 익혔던 일들이 현재의 마음과 몸의 행동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것은 전생에 익혔든 아니면 몇 년 전에 익혔든 관계없이 한 번 경험하고 체험한 것은 아뢰야식에 저장되어 있다가, 의식을 통하여 다시 실현되기 때문에 꿈속에 실현된 것에 대한 의식도 몽중의식인 것이다.

-『유식학 입문』, 도서출판 대승(大乘)

 

 

p. 91

 다시 말해 이러한 모든 행동은 카르마(업)의 흔적, 즉 아뢰야식에서 연을 만나 발동한 것이며, 그것은 사람의 성격이고, 운명이며 생각과 행동의 패턴이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보이는 반응은 모두 여기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그 틀을 벗어나기 어렵다. 그러므로 언행을 보면 그 사람의 마음을 알 수 있다. 습관적인 성향이나 개인의 마음이 남아 있는 한 무의식은 존재한다. 그것은 심지어 죽어서 육체가 사라져도 카르마의 흔적이 정화될 때까지 자국이 남아 다음 생을 또 낳게 하는 윤회의 씨앗이 된다.

 

 

p.102

 일상생활에서 이렇게 순환하며 진행되는 바르도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희로애락 가운데 자신에게 가장 강하고 습관적인 것에 집중하여 살펴보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하나의 움직임을 찬찬히 지켜보고 있으면, 어떤 감정이 일어나기 전에 항상 공백이나 간격이 있음을 어렴풋이나마 보게 된다. 그 틈새는 순수한 의식으로 충만하다.

 

 

p. 218

 그 진리란, 신들조차도 우리들 자신의 영혼에서 비치는 빛이고 우리들 영혼에서 투영된 모습이라는 것이다.

 영혼, 다시 말해 인간의 마음이 모든 것의 근원자리임을. 이는 매우 사려 깊은 일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삶이 우리에게 분명히 해 주지 않는 하나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 모든 주어진 것들의 '주는 자'가 바로 우리 자신 안에 있다는 사실을 깨우쳐 주기 때문이다. 우리가 모든 것을 창조해 낸 장본인이고, 모든 결정을 내린 주인공이라는 것이다.

 

 

p.250-251

 이와 같이 상대가 나에게 화를 내거나 억울한 소리를 할 때마다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라. 상대의 감정에 내가 이미 흡수되어 그의 의도대로 내 마음이 이미 화가 나서 그의 노예가 되었다면, 당신은 선물을 받은 것이다. 아니면 반응을 하려다 감정이 일어나는 것을 알아차리는 순간 사라지든지, 그것도 아니면 그때 그때 관찰하는 마음이 강해져서 오히려 상대에게 연민의 마음을 갖게 된다. 그러면 그 선물은 다시 상대의 몫으로 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잠시 그가 받을 업보를 생각하면, 한 발 더 나아가 그에게 자비의 방사를 보낸다. 이렇게 한 번, 두 번 하다보면 몸에 자연스럽게 배어서 어떤 상황에도 물들지 않고 초연해진다.

 

 

p. 281

 "'나는 모든 중생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여기 있다.'는 마음이 일어나면 그 즉시 모든 성현들의 손길을 어깨와 머리에 느낄 수 있다. 그런 거대한 긍정적 에너지와 연결되면 하루 종일 힘이 생긴다. 아무리 작은 자비심을 일으키려 해도 어느 정도는 '나'가 없는 '무아'의 경지에 있어야 한다. 남의 문제를 내 문제로 느끼려면 어떻게든 자기 문제를 잊어야 한다."

 

 

 

 

 

 

Posted by 보리바라봄
책 읽기2012. 10. 14. 14:10



별 기대나 사전 정보 없이 오로지 불광출판사에서 출간했다는 것만 믿고 읽게 된 책이다.
(이벤트를 통해^.^)

정신과 의사샘이 자신의 경험과 환자의 치유 과정을 바탕으로 해서 불교적인 해석으로 풀어냈다.
몇 군데 불교 경전이 인용되기는 하지만, 개인의 경험을 통한 통찰력이 더 돋보이는 책이다.

분명 예전에도 들어 봤던 말이고,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이야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처음 들어보는 것 처럼 새로운 의미로 와닿는 부분들이 많았다.

이를테면 긍정적인 생각이 중요하다는 것이나, 알아차려야 한다는 것, 현재에 집중하기, 있는 그대로 보기, 나를 없애는 것,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는 것, 표현의 중요성, 대긍정, 주는 것, 자존감, 진정한 자기애 등등.

하지만 '또 그 이야기야'가 아니라 '그 얘기가 이 얘기였어?'라는 생각이 들만큼 인상적인 내용이었다. 

p.52
 명상의 반대편에 생각이 있다. 명상을 함으로써 생각이 줄어든다. 명상을 하기 전에는 생각과 개념으로 세상을 봤다면 명상을 한 이후에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게 된다. 생각은 실제를 가리는 장막과 같은 것이다. 장막을 걷어치우고 실제를 보는 것이다. 우리 생각과 실제는 다르다. 세상은 실제에 따라 움직인다. 우리가 우리 생각에 따라 움직이면 실제와 따로 놀게 된다. 내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는다. 원하는 대로 되지 않을때 괴로움이 오고 정신적인 문제가 생긴다. 괴로움이 없고 정신적으로 건강하려면 실제를 봐야 한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봐야 한다. 실제 일어나는 것을 있는 그대로 봐야 한다. 현실에서 멀어진 만큼 정신 건강이 좋지 않다.

p.204
 세존이시여, 어떤 사람이든지 나쁜 행위를 하고 나쁜 말을 하고 나쁜 생각을 하면 그들은 자기 자신을 사랑스러운 사람으로 대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들이 말로는 자기 자신을 사랑스럽게 여긴다고 해도 그들은 자신을 미워하는 사람으로 대하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그들은 미워하는 사람들이 서로에게 행하는 것처럼 자기 자신에게 그렇게 하기 때문입니다.
세존이시여, 어떤 사람이든지 좋은 행위를 하고 좋은 말을 하고 좋은 생각을 하면 이것은 자기 자신을 사랑스러운 사람으로 대하는 것입니다. 그들이 말로는 자신을 사랑스러운 사람으로 대하지 않고 있다하더라도 그들은 자신을 사랑스러운 사람으로 대하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그들은 사랑하는 사람들이 서로에게 하는 것처럼 자기 자신에게 그렇게 하기 때문입니다.

p.217
 내가 기준이 되지 않고 많은 것 중에서 하나를 취하거나 어떤 상태를 고정시켜 취하지 않고 어떻게 비교를 할 수 있나.
 비교에서 벗어나려면 이 두 가지를 없애면 된다. 하나는 내가 기준이 되지 않으면 된다. 나와 관계 없이 상대를 보면 된다. 내가 없이 상대만 있으면 된다. 남을 보는 순간 내가 없다고 상상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오로지 상대방만 본다. 그러면 상대가 잘 보인다. 내가 문제다. 나라는 잣대로 재면 비교라는 결과가 나타난다.
 두 번째는 어느 하나를 취하지 않고 전체를 보거나 어떤 상태를 고정시키지 말고 과정으로 보면 비교가 설 자리가 없어진다. 현재 어떤 상태가 벌어질 때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그 과정이 있다. 그걸 보면 왜 그런 일이 벌어졌는지 알 수 있다. 남에게 왜 그런 일이 있고 나에게 있는 일이 왜 있는지 알게 된다. 앞으로 어떤 일이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지혜가 생긴다. 여유가 생기고 너그러운 마음이 된다. 
 



이 책에서는 '지금, 여기'에서 벗어나 '과거와 미래'에 대해 머릿 속에 떠올리는 것을 생각이라 정의하고, 이에 관해서 다룬다. 이러한 생각을 '내가 하고 있다'는 편견을 깨고 '생각에 끌려다니지 않는 건강한 정신'을 위한 방법들을 알아본다. 생각의 실체(?)를 밝혀내는 과정이 아주 흥미롭고 유익하다. 

이 책은 지금 여기에 집중해서 현재를 살도록 유도하는 <위빠사나 명상>과도 일맥 상통한다. 
순간 순간 나도 모르게 생각 속에 빠져드는 건 어쩔 수 없다 치더라도, 그런 순간들을 문득 알아차리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 횟수가 많아지고 길어질수록 삶에서 겪는 실수들이 줄어들 것이다.

어젯 밤은 누워있어도 왠지 잠이 오지 않을 듯한 기분이 들었다. 하지만 책에서 일러준 것처럼 망상을 접고, 눈을 감고, 호흡하는 것만 지켜보다 보니, 어느새 나도 모르게 잠이 들었다.

생각의 꼬리를 끊자'-'!


+) 흥미로운 경을 접할 수 있어서 읽는 재미를 더했다^^

 
Posted by 보리바라봄